
청동기시대 옥곡동 청동기시대마을유적. 용성면 고죽리 고인돌 유적 삼한시대:진한의 일 소국인 압량소국, 일명 압독국 성립 신라의 병합 압독군 설치 압독군 반란 토평 삼국시대/남북국시대 압독군 관내 3영현 설치
치성화현(미리현)·마진량현(마리양현) / 노사화현(기화현)압량주 설치(군주 김유신) 김인문 압량주 군주, 장산성 축조 장산군으로 고치고 해안현, 여량현, 자인현을 영현으로 둠 고려시대 장산군의 장(獐)을 장산군(章山郡)으로 고침.
여량현을 구사부곡으로 강등시킴.하주(하양)자사를 둠 장산군, 해안현, 자인현, 하양현,
구사부곡이 동경유수관의 속현이 됨하양현 감무 설치 장산군이 장산현이 되고, 감무를 둠 장산현을 경산현으로 개명 경산현을 국사 일연의 고향이라 하여 현령관이 파견되는 주읍으로 승격 왕비 노씨의 고향이라 하여 지군사가 파견되는 경산군으로 승격 조선시대 경산현으로 강등 하양현감으로 개정 자인현이 경주부의 속현이 됨 경산현과 하양현을 대구부에 합속 경산현과 하양현이 대구부에서 독립 자인현이 경주부에서 독립, 현감 둠 경주부에 합속되었던 구사부곡을 자인현에 합속 경산현, 하양현, 자인현이 군으로 승격됨 경산군, 하양군, 자인군을 경상북도에 편입 근대 이후 부군폐합 때 자인군·하양군의 2군과 신령군 영천군
청도군의 일부를 경산군에 병합경산면이 경산읍으로 승격(법률 제393호) 안심면 하양면이 읍으로 승격 안심읍과 고산면이 대구시에 편입 경산읍 행정구역 확장, 압량면 11개동 21.3km 경산읍에 편입 (대통령령 제12007호) 경산읍이 경산시로 승격(법률 제4050호) 경산시와 경산군이 경산시로 통합(법률 제4774호)
경산의 역사연표 페이지 부서 담당자 및 연락처 (행정전화번호 / 이메일)
시립박물관담당, 시진욱 (☎ 053-804-7314)